LFS458 관련 대비 실습 - 하나씩 해보자! 01. kubeadm 을 이용한 설치 및 세팅 02. kubernetes 클러스터 노드 확장 및 셋팅 03. 간단한 application 배포, yaml템플릿, 서비스 expose 해보기 04. deployment 의 CPU, Memory 제약 05. namespace 를 위한 resource limit 설정 06. 좀더 복잡한 deployment 배포해보기 07. 기본 Node 의 maintenance (유지보수) 08. API AND ACCESS 09. API 객체 10. Managing State with Deployments 11. Service Resource 12. Volumes and Data : ConfigMap 간단 테스트 13. PV 와 ..
# Working with TLS # 마스터 노드와 보조 노드 모두에서 kubelet 을 보자 . # kube-apiserver 는 cerificates 과 authorization mode와 같은 보안 정보를 보여준다. # kubelet 은 systemd 서비스이므로 아래와 같이 상태를 볼수 있다. # 아래 CGroup 정보에 보면 설정 파일들이 어디에 있는지 알수 있다. ps0107@k8smaster1:~$ systemctl status kubelet.service ● kubelet.service - kubelet: The Kubernetes Node Agent Loaded: loaded (/lib/systemd/system/kubelet.service; enabled; vendor preset: e..
# helm 1. 복잡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배포할때 사용하며, yum 이나 apt와 비슷하게 쿠버네티스 안의 package manager 역할을 한다. 2. chart template을 통해서 kubenetes application 을 패키징한다. 3. helm은 chart의 install을 요청하는 client 이다. 4. chart에 따라서 Tiller(서버) 가 cluster resource들을 생성한다. # helm과 Tiller helm은 로컬에 설치한 client를 말하고 Tiller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안에서 실행 중인 서버이다. # Helm 과 Charts helm 을 사용하면 복잡한 구성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. multi-part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deployment 할 수 있다.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