/dev/bd.off error. 부팅시 에러 메시지와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. /dev/bd.off: not a serial device. bdconfig: no serial device configured. Run bdconfig interactively (no args). OK> boot -s # ls -l /dev/bd* # rm -f /dev/bd.off # bdconfig off (y/n ?) y (y/n ?) y (/dev/term/a or b) /dev/term/a /var/crash full # dumpadm # rm -rf /var/crash/[hostname] Solaris 관련 상세한 Admin 정보는 HowtoSolaris를 참고하기 바랍니다. # showrev -p # patc..
/dev/rmt/0n 하면 n 옵션에 따라 no rewind 가 맞습니다. 이 n 옵션을 사용했을 경우와 안했을 경우는 백업을 다 받고 나서 tape 의 상태 차이입니다. n 이 있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도 rewind 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해 했있고, n 이 없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 자동으로 rewind 하게 됩니다. 하지만 no rewind 로 했을 지라도 테잎을 빼내게 되면 backup drive 는 테잎을 그냥 그 위치에서 빼는게 아니라 맨 처음으로 감은 다음 테잎을 eject 시킴. 테잎을 뺏다가 다시 넣어서 예전에 받았던 다음 부분부터 backup 을 받으려면 테잎을 수동으로 앞으로 감아줘야 함. # mt -f /dev/rmt/0n fsf 2 이런 식으로 말이죠... 반대로 다..
솔라리스에서 백업테이프 작동명령어 mt 명령어 입니다.. Rewind : mt -f /dev/rmt/0n rewind 상태보기 : mt -f /dev/rmt/0n status 꺼내기 : mt -f /dev/rmt/0n offline 늘어진테이프팽팽히하기 : mt -f /dev/rmt/0n retention 앞으로 한블록 : mt -f /dev/rmt/0n fsf 1 테이프 전부 삭제 : mt -f /dev/rmt/0 erase 위의 0 다음의 n은 no rewind 의 의미이며 안 붙여도 됩니다..
나중에 추가 하면 첨 추가 한것보다 성능이 떨어짐 #df -k 공간 확인#mkfile 10m /data/swap_add 자기 계정에 mkfile로 추가 #swap -l 스왑이 어떻게 잡혀져있는지 확인 #swap -a [절대경로] #swap -l#vi /etc/vfstab 절대경로 - - swap - no - 추가#swap -d [절대경로] 스왑삭제
sun 키보드 에서 : stop + a 키를 눌러 ok>모드로 들어감 ok> boot cdrom 씨디롬을 통해서 부팅 disk(default값일때) F2로 거의 계속 넘어감 *파티션은 수동 설정 파티션 나눌때 설치 도중 swap을 잡아줄때는 메모리의 2배로 잡아줌 Tip) 설치 도중 메모리를 모르고 설치 했을 때,,,빈곳에 오른쪽 마우스 버튼 꾹 누르고 있다가 terminal 로 들어가서 메모리를 알아냄 # prtdiag | more (하드웨어정보) memory size를 알아냄 예를 들어, 1G일때 swap은 2G로 잡아줌